본문 바로가기

IN TIME

연봉 3400 실수령액 , 연봉계산기로 계산

2019년 연봉 3400만원 실수령액은 얼마나 될까

 

연봉 계약을 하게 되면 내 실수령액이 궁금해집니다. 그러면 연봉계산기를 사용해서 실수령액을 계산을 하게 됩니다. 연봉계산기로 계산한 실수령액은 참고만 하셔야 합니다. 여러가지 이유로 본인의 정확한 실수령액은 계산이 어렵습니다. 그래도 대략적인 금액이라도 알고 싶어서 연봉계산기를 이용하게 되네요.

 

연봉계산기는 네이버 등의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경우도 있으며 인크루트나 사람인과 같은 취업전문 사이트에도 있습니다. 그리고 개인이 만들어서 올린 연봉계산기들도 많이 있습니다. 어떤 것을 사용하셔도 괜찮지만 2019년 기준이 제대로 반영이 되어 있는지는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올해 건강보험요율은 3.23%이며 장기요양보험요율은 8.51% 입니다. 이 요율이 다르면 올해 기준이 아니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기준들이 반영이 되어 있는 계산기는 인크루트 연봉계산기와 사람인 연봉계산기 입니다. 오늘은 인크루트 원클릭 연봉계산기를 사용해보겠습니다.

 

 

 

인크루트 원클릭 연봉계산기 입니다. 좌측이 각종 입력해야 할 정보들이며 우측이 그 결과값입니다.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로 상세하게 구분이 되어 있습니다.

 

 

 

 

먼저 퇴직금 별도, 비과세액은 10만원, 부양가족수는 1명, 자녀수는 0명인 경우의 연봉 3400만원 실수령액 입니다. 결과는 2,529,353원입니다. 월 250만원이 조금 넘습니다.

 

 

 

 

 

이번에는 부양가족 정보는 그대로 하고 비과세액만 0원으로 변경을 하였습니다. 그러면 월 예상 실수령액은 2,511,293원으로 18,000원 정도 줄어들게 됩니다.

 

 

이제는 부양가족 수를 변경해보겠습니다. 총 부양가족수는 3명이며 자녀는 1명인 경우입니다. (일반적인 자녀 1명의 외벌이 가장 케이스) 그러면 예상 실수령액은 2,565,133원 입니다. 부양가족의 수가 늘어나게 되면 사회보험료는 변동이 없으며 세금이 줄어들게 됩니다. 그래서 최종적인 월 실수령액은 조금 늘어나게 됩니다.

 

실제로 소득세액을 변경하신 분들은 많지 않을 것으로 생각이 되지만 본인이 소득세액을 80%나 120%로 변경을 하신 분들이 있으시면 소득세와 지방소득세를 80%, 120%로 계산을 하시면 됩니다. 이 부분은 본인이 직접 하셔야 합니다. (본인이 직접 변경한다고 회사에 제출을 하시지 않았다면 100%가 적용이 되고 있습니다.)

 

연봉 3400만원으로는 월 실수령액이 250여만이 됩니다. 실수령액 기준 월 300만원이 되려면 연봉으로 4천만원에서 4100만원정도가 되어야 합니다. (비과세액과 부양가족 수에 따라서 조금씩 다릅니다.)